(스크랩) 저항 읽는법 , 4선 저항,5선 저항,6선저항 Music_Story

(스크랩)
저항 읽는법 , 4선 저항,5선 저항,6선저항

기타 개조 작업을 하다보면 저항 소자를 다루는 경우가 있어 스크랩을 해둠.

---------------------------------------------------------------

저항 읽는법 , 4선 저항,5선 저항,6선저항

inger | 2013.01.22 21:36

 

우선 그림 올리고 시작. 

누군가 잘 써놓은 글이 많아서 정리할까 말까 하다가 누군가에게 가르쳐 줘야해서 PT제작겸 해서 등록. 

그림은 Cacoo로 그렸는데 생각보다 잘나옴. 


승수 까지는 대학떄 봤던 교과서에서 확인 했는데 오차는 내가 본건 초록색 검정색 뿐이라 우선 베꼈다. 


사선 일 경우 색1(숫자) 색2(숫자) * 색3(승수) , 정밀도  

 ex) 색 1 부터 순서대로 읽을떄  

 갈흑갈금 이라 하면 색1 = 1, 색2 = 0, 색3 = 1, 색4 = 금 이므로 

 10*10^1 즉 100옴 이 되고 금색이므로 ± 5% 

 결과적으로 95옴에서 105옴 사이의 평균 100옴인 저항 

  

 5선일 경우 숫자가 하나 추가 된다  

 ex)색 1 부터 순서대로 읽을떄  갈빨흑흑금 이라 하면 

 색1 = 1, 색2 = 2, 색3 = 0, 색4 = 0, 색5 = 금 이므로  

 120*10^0 의 ± 5% 값의  저항이 된다 


 6선일 경우는 나도 본적이 거의 없다. 

 이론대로 식을 말하자면 5선에 값이 하나 추가될 뿐이다. 

 ex)색 1 부터 순서대로 읽을떄  갈빨흑흑흑금 이라 하면 

 색1 = 1, 색2 = 2, 색3 = 0, 색4 = 0, 색5 = 0, 색6 = 금 이므로  

 1200*10^0 의 ± 5% 값의  저항이 된다 


 쓰니까 이해하기 상당히 어렵다. 


 요약하면

 4선: 색1(십의 자리) 색2(일의 자리) * 색3(10^숫자), 색4(정확도) 

 5선: 색1(백의 자리) 색2(십의 자리) 색3(일의 자리) * 색4(10^숫자), 색5(정확도)   

 6선: 색1(천의 자리) 색2(백의 자리) 색3(십의 자리) * 색4(일의 자리)* 색5(10^숫자), 색6(정확도)

띠 저항 색으로 읽기 끝.  

덧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14537
3663
11007132

google_myblogSearch_side

▷검색어

Flag Counter styl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