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개조) ‘트레블 블리드(treble bleed)’ 온오프 스위치 만들기 2차, 6P2단 토글스위치로 성공 Music_Story

작년에 3P2단 토글스위치로 ‘트레블 블리드(treble bleed)’ 를 장착하려고 시도했으나 스위치를 꺼도 항상 회로가 작동하는 문제로 인해 실패를 했었다.

이와 관련한 글들의 링크.
(기타개조) 커패시터 교체 테스트 (MMR153-223K2G, RY5V473M500B), 빈티지 보이싱, 트레블 블리드
(기타개조) '트레블 블리드' 제거, 커패시터 원상복구

‘트레블 블리드(treble bleed)’란, 기타의 볼륨(Volume)을 줄였을 때 음량이 줄어들면서 동시에 소리가 둔해지고 댐핑감이 떨어지는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커패시터와 저항을 혼합하여 볼륨에 붙여주는 장치다.
이 장치를 연결하면, 볼륨을 줄여서 드라이브가 적게 걸린 톤을 연주할 때에도 댐핑이 살아 있고 선명한 소리를 그대로 낼 수 있다.
‘PRS’ 라는 브랜드의 기타에 장착되는 회로로, 인터넷에 회로가 공개되어 있기 때문에 조금만 공부하면 누구나 만들어서 장착할 수 있다.
(‘댐핑감’이란, 기타 줄을 튕겼을 때 탄력 있고 단단하며 선명한 소리가 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관련한 정보는 아래의 링크에서 찾아볼 수 있다.

구글에서 한글로 ‘트레블 블리드’ 검색
구글에서 영어로 ‘treble bleed’ 검색

그렇다면, 고가의 기타에 장착이 되는 회로이니 무조건 좋은 것일까?
그렇지는 않다.
테스트를 해본 결과, ‘트레블 블리드’를 장착할 경우 기타 연주 기법 중 하나인 ‘볼륨 주법’을 사용하기 곤란해진다.
볼륨을 줄일 때 서서히 줄어드는 느낌이 나야 하는데, 그런 느낌이 부족해서 ‘볼륨 주법’을 사용할 수 없다.
어쩌면 제대로 설계된 시스템에서는 잘 작동하는지도 모르겠으나, 적어도 내가 만든 회로에서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볼륨을 줄였을 때 약간 먹먹하고 부드러운 소리가 나는 톤도 사용해야 할 때가 있다.
‘트레블 블리드’를 장착하면 이런 톤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토글스위치를 이용해 ‘트레블 블리드’를 온오프(ON/OFF) 할 수 있도록 하려고 했던 것이다.
기존에 ‘3P2단 토글스위치’를 이용해서 연결했을 때, 스위치를 끈 경우라도 ‘트레블 블리드’ 회로가 항상 볼륨에 연결이 되어 있는 방식인데, 회로도 상에서 ‘트레블 블리드’ 회로를 통과해서 가는 상황은 아니더라도 그저 볼륨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만으로도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 같다.
이런 문제는 이 회로 뿐만이 아니라 톤에 오일 커패시터를 여러 개 연결해서 토글스위치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회로를 만들었을 때도 발생했던 문제다.
이런 문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려면, 토글스위치를 껐을 때, 기타 내부의 회로에서 완전히 차단(단락)이 되는 방식으로 연결을 해야 확실하게 온오프(ON/OFF) 방식으로 동작하게 된다.

전파사에 갔더니 ‘6P2단 토글스위치’가 있다고 해서 구입을 했다.
(이상하게도 예전에 물어봤을 때는 없다고 했던 것 같은데, 이번에는 있다고 하더라.)

하단의 접점이6개이고 온오프(ON/OFF) 방식으로 동작하는 ‘6P2단 토글스위치’는 끄거나 켤 때 접점을 각각 2개씩 사용할 수 있어서 회로에서 완전히 차단시킬 수 있는 연결 방식을 만들 수 있다.

위의 사진을 통해 설명을 하겠다.
가운데의 두 개 접점은 항상 전기가 통하는 부분이다.

‘6P2단 토글스위치’를 분해한 사진은 아래의 링크를 참조.
6P2단 토글스위치(SA02004-2013) 분해

토글스위치 내부에는 지렛대 같은 부속품이 있어서 어느 한쪽으로 움직이면 반대쪽은 연결이 끊기는 방식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민속놀이인 ‘널뛰기’를 생각하면 되는데, 널뛰기 널의 가운데는 항상 지면에 붙어 있고, 좌우의 끝부분은 어느 한쪽이 위로 움직일 때 그 반대쪽은 지면에 닿는다.
‘토글스위치’의 상단에 있는 스위치는 지렛대처럼 움직이기 때문에 스위치를 좌로 움직이면 하단에서는 우측에 있는 접점이 연결된다.
반대로 스위치를 우측으로 켜면 하단의 접점은 좌측이 연결된다.
스위치를 장착할 때, 하단의 접점은 반대로 연결된다는 것에 주의하면 된다.

스위치를 껐을 때, 기타 내부의 배선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방식으로 장착하려면, 위의 사진에서 설명하고 있듯이 ‘트레블 블리드’ 회로를 좌나 우측의 두 개 접점에 연결을 하고, 가운데에 있는 두 개의 접점을 기타 내부의 회로에 연결하면 된다.
이렇게 연결을 하면, 토글스위치 내부에 있는 지렛대가 어느 한쪽으로 움직일 때 가운데 접점에 연결이 되었다가 다른 쪽으로 스위치를 움직여서 지렛대가 반대쪽으로 움직이면 회로가 완전히 차단되게 된다.
토글스위치를 분해한 사진을 잘 분석해서 이 회로가 어떻게 배선에서 완전히 차단되는지 잘 분석해보기 바란다.

토글스위치의 가운데 접점 두 개는, 각각 볼륨 팟의 왼쪽 첫 번째와 두 번째 접점에 연결해주면 된다.
아래의 사진을 참조하여 실제로 어떻게 회로를 연결했는지 참조하기 바람.

‘트레블 블리드’를 장착하고 실제로 테스트를 해봤다.
스위치를 켰을 때는 볼륨을 줄여도 선명한 소리가 잘 살아났고, 스위치를 끄자 부드럽고 드라이브가 줄어든 소리가 나왔다.
예상했던 대로 ‘트레블 블리드’ 회로를 켜거나 끄는 온오프 스위치가 잘 작동하고 있다.
이번에 확실하게 방법을 알게 되어서, 앞으로 다른 부품을 장착할 때는 좀 더 수월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내부 공간이 좁아서 겨우 장착을 했다.


핑백

덧글

  • 퍼피 2016/02/05 02:42 # 삭제 답글

    이러다 쉐도우스키처럼 기타개조 전문가 되겠삼.. 그나저나 미리사둔 3단 스위치는 어찌할꼬~~
  • fendee 2016/02/05 02:58 #

    그냥 올 때 가져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9572
3663
11006639

google_myblogSearch_side

▷검색어

Flag Counter styl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