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식(건전지,배터리)식 가스렌지 점화불량 체크, 배터리 교체 Miscellany

가스렌지는 기계식(압전방식)과 전자식(배터리를 이용한 연속점화방식)의 두가지 형태가 있다.
예전에는 압전방식을 이용한 가스렌지가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전자식 가스렌지로 거의 대체되고 있는 것 같다.
압전방식을 이용한 방식은 세라믹 소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로 배터리가 필요하지 않아 배터리 문제를 신경 쓰지 않고 쓸 수 있지만, 세라믹 소자가 영구적이지 않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스파크가 발생하지 않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우리 집도 기계식 가스렌지를 사용하다가 작년 11월 9일에 전자식 가스렌지로 바꿔 사용하고 있다.
요리를 많이 하는 편이 아니라서 그런지 거의 1년 넘게 사용했는데, 요리를 자주 하는 가정에서는 배터리가 더 빨리 달을 수 있다.
어머니가 가스렌지 오른쪽이 켜지지 않고 왼쪽만 켜진다고 하는데, 최근에 요리를 하시다가 국물이 몇 번 흘렀다고 한다.
오염물질로 인해 스파크가 잘 발생하지 않는 것이라 생각해서 가스렌지를 분해했다.
재미있는 점은, 오른쪽 레버를 돌려도 왼쪽에서 스파크가 튄다는 점.
찌든 때를 닦아내고 켜 보았으나 여전히 왼쪽에만 스파크가 발생하더니 아예 왼쪽도 스파크가 튀지 않았다.
괜히 뜯었다가 완전히 고장을 내버린 게 아닌가 싶었는데, 상황을 곰곰이 분석해보니 배터리가 약해져서 그럴 수 있겠다 싶다.
내부 배선을 보니 배터리에서 연결되어 나온 선이 오른쪽과 왼쪽에 병렬로 연결된 것이 아니라 한쪽을 거쳐서 한쪽으로 선이 나가는 형태여서, 어느 한쪽으로 전기가 쏠릴 수 있겠다 싶었다.
아무튼 가스렌지 작동원리에 대해 정확히 알 방법은 없고, 일단 배터리를 교체해보기로 했다.
동그란 배터리 중에 가장 사이즈인 ‘R20 1.5V SIZE D’ 로 교체.
가게에서 낱개로 팔지 않는다고 해서 2개 묶음을 1400원에 구입.
그런데 여전히 스파크가 튀지 않는다.
하지만 가스렌지를 모두 조립하고 다시 켜보니 스파크가 아주 잘 튀었다.
역시 배터리가 약해져서 스파크가 일어나지 않았던 것.

배터리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보니,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는 고장의 원인이 단순 배터리 방전인지 아니면 다른 결함인지 알기 어렵다.
그러나 가스렌지 구조 자체가 매우 단순한 편이어서 배터리 방전으로 인한 문제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배터리 방전이 문제인지 확인하는 요령.
배터리 충전상태가 좋을 때는, 불꽃이 튀는 소리가 ‘따다다닥’ 하며 빠르게 소리가 난다.
배터리가 약해지면 전기를 만들어내는 힘이 약해져서 ‘따~~다~~다~~닥’ 하며 소리가 나는 속도가 느려진다.
따라서 레버를 돌렸을 때 불꽃이 튀는 소리를 들어보고, 소리가 느리게 이어진다면 배터리가 약해졌다고 생각할 수 있다.

자료를 찾다보니, 새로 지은 아파트에 붙박이로 설치하는 인덕션렌지에 대한 자료가 있었다.
와류전류를 이용하여 냄비를 뎁히는 방식이라고 하는데, 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안전하고 깔끔하지만, 불이 아니라 전기를 이용하는 방식이어서 전기소모가 많고(누진세 우려), 전자파에 대한 우려 및 음식물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아직 확실히 조사되지 않은 점 등에 대한 생각이 떠올랐다.

참고자료:
압전기 (위키백과)
유도전류 [ induced current, 誘導電流 ]
인덕션렌지와 가스렌지
와류 [Vortex, Eddy current, 渦流]
라이터, 가스렌지 등에서 점화를 시키는 spark는 어떻게 생기는가요- - 지식iN
20130805-‘불·연기·냄새 3無 고기 불판’ 나왔다(와류전류)
20141103-손잡이를 잡았을 뿐인데, 내 몸 속 지방량 어떻게 알지?

가스렌지 분해.
왼쪽은 불꽃 나오는 부분을 분리하지 않았고, 오른쪽만 분해한 상태다.

불꽃이 튀는 부분.
국물이 몇 번 넘쳐서 오염이 많이 되어 있다.
처음에는 오염물질로 인해 불꽃이 잘 튀지 않는 것이라 생각하여 청소를 했다.

왼쪽의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버너 상태.

불꽃 나오는 부분 아래쪽에 가스렌지 상판과의 직접 접촉을 막는 개스킷 비슷한 게 있는데,
이 부분을 분리하니 개스킷처럼 되어 있던 부분이 모두 부스러져 깨졌다.
어차피 깨졌기 때문에 그냥 청소를 했다.
결과적으로, 가스렌지를 사용하는 것에 별다른 문제는 없는 것 같지만,
일단 분리하면 이 부분이 깨지기 때문에 되도록 분리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Made in China.
구조는 매우 단순하다.
배선을 보면 뒤쪽의 배터리에 연결된 선이 가스렌지 앞쪽의 승압기에 연결되어 있고,
승압기에서 나온 선이 버너의 점화플러그에 연결되어 있다.

승압기에서 나온 선이 두 곳에 연결되어 있다.
하나는 점화플러그에 연결되어 있고, 하나는 그냥 뾰족한 철에 연결되어 있는데,
불꽃이 튀는 부분은 하얀색으로 감싸져 있는 부분이다.
정확한 작동원리는 모르겠으나 피뢰침처럼 전기를 유도하는 방식일까.

점화플러그 청소.

승압기.
배터리에서 나온 전압을 승압시켜 불꽃을 만든다.

배터리에서 직류형태로 연결된 배선.
왼쪽으로 먼저 들어온 후 오른쪽으로 이어진다.
그 때문에 배터리 전압이 약해져 왼쪽에만 불꽃이 튄 것으로 추측됨.

오염물질 제거.

건조.

배터리 교체.
동그란 형태의 배터리 중 가장 큰 사이즈.

불꽃이 튀는 모습.


핑백

덧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477572
3663
11006573

google_myblogSearch_side

▷검색어

Flag Counter styl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