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r) 오토차량 엔진출력 떨어지면, 출발 및 시내 주행시 3단으로 Car

약 1년 반 정도 전에 차량 출발 시 엑셀을 밟아도 속도가 나지 않고 엔진이 꿀렁거리는 문제가 있어 카센타에 갔더니 점화플러그를 교체해야 한다고 해서 교체를 했었다.
점화 플러그 교체 후에는 교체 전처럼 꿀렁거리고 속도가 나지 않는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이 되었지만, 여전히 차량 정지 시에 점화가 불규칙적으로 이뤄지는지 덜덜거리는 증상이 있어 카센타에 문의를 했지만, 엔진을 들어내서 보기 전에는 알 수 없다는 말만 한다.
차량정비 시 일단 엔진을 뜯게 되면 공임비가 꽤 나오고 엔진 부품을 교체하게 되면 100만원에 육박하는 수리비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그냥 운행하기로 했다.
간혹 꿀렁 거리는 것은 그냥 무시할 수 있지만, 차량 출발 시에 엑셀을 밟아도 가속이 제대로 되지 않아서 T자형 도로 우회전시 직진 차량의 운행에 방해를 하거나 혹은 끼어들기도 다소 무리가 있어 주위 차량에 민폐를 끼치는 것 같아 민망할 때가 몇 번 있었다.
특히, 언덕에 걸치면 출발할 때 엔진 힘이 부족해서 뒤 차에게 방해가 될 정도로 속도가 나지 않았다.
일단 가속이 되면 운행에 전혀 문제가 없는데, 정지 상태나 언덕에서 출발할 때 빠른 가속이 되지 않는 것이 문제.

예전보다 더 방어 운전을 하고 무리한 운행을 하지 않고 있지만, 도로 위에서의 상황이라는 것이 항상 예측이 힘든 경우가 많아서 곤란하다.
TV에서 자동차 경주 관련 방송을 보다가 문득 생각이 떠올랐다.
오토차량이기는 하지만 저속 기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지 했다가 새로 출발할 때 저속 기어로 출발을 하는 것을 테스트 해봤다.


정지 후 새로 출발을 할 때 기어를 3단에 놓고 시내 주행을 하면, 이전처럼 D(드라이브)에 놓고 출발할 때 보다 훨씬 가속이 잘 되었다.

차량 구조를 잘 알지는 못하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수 있지만, 일반적인 시각에서 한번 생각을 해보자.
차량의 기어는 자전거 같은 기계의 바퀴와 비교해 볼 수 있다.
저단 기어는 톱니의 크기가 작아서, 톱니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엔진이 그만큼 많은 회전(피스톤 반복 운동)을 해야 하지만, 크기가 작기 때문에 톱니를 회전시키기는 더 수월하다.
일반 차량의 3단 이후인 D(드라이브) 모드는 점점 더 큰 톱니로 교체하는 것인데, 톱니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엔진의 피스톤 운동 횟수는 줄어 들지만, 큰 톱니를 돌리기 위해서는 더 많은 힘이 필요하다.

자전거를 탈 때, 저단 기어와 고단 기어를 사용해서 주행을 해보면, 뒷바퀴의 작은 톱니에 물리는 저단 기어를 사용해서 운행을 해보면 힘이 훨씬 적게 들어도 자전거가 나가지만 같은 거리를 가기 위해서는 다리를 많이 저어야 한다.
평평한 도로에서는 저단 기어로 다니면 다리 힘이 많이 들어 힘들지만, 언덕을 오를 때에는 저단 기어로 놓아야 올라가기가 수월하다.
평지에서는 고단 기어로 운행을 하면 다리를 몇 번 돌리지 않아도 먼거리를 쉽게 갈 수 있다.

자동차도 이와 비슷하다.
지금처럼 차량 엔진의 힘이 떨어진 상태에서 D(드라이브) 모드에 놓고 운행을 하면, 언덕을 올라갈 때나 정지 후에 재출발을 할 때 일시적으로 힘을 내야 하는 가속이 되지 않아서 문제가 되는 것 같은데, 톱니 밋션 기어가 작은 저단기어를 사용하면 비록 회전을 많이 해야 해서 연료 소모도 많지만 큰 기어를 돌릴 때 보다는 작은 힘으로도 가속을 할 수 있는 것 같다.

일반적인 오토밋션 차량은 매뉴얼(수동) 차량과 달리 기어가 걸리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아 잦은 기어 변속이 용이하지 않다.
'P, N, 3, 2, 1' 이런 식으로 구분이 되어 있는데, 위로 올리면 P(주차) 전인 N(중립)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매번 3단에 놓지 못하고 자꾸 N(중립)에 걸려서 출발을 못하고 공회전을 하는 실수를 하게 되었는데, 기어 변속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그냥 맘 편하게 운행 하려면 3단 기어에 맞춰 놓고 운전하는 게 속 편하다.
3단 기어의 경우 시속 60km 까지는 무난하게 가속이 되기 때문에 시내 주행이라면 3단에 놓고 운행해도 무리가 없다.
단, 엔진 회전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져서 연비가 상승하는 점에 주의.


덧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150702
4671
11051059

google_myblogSearch_side

▷검색어

Flag Counter styl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