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A 기반 컴퓨터에 E-IDE 로 윈도우 설치 Computer_Internet

컴퓨터를 이리저리 조작해본 경험이 이럴때 도움이 되는 걸까.
잘 돌아가던 컴퓨터가 갑자기 에러가 나더니 윈도우도 설치되지 않는다.
이 컴퓨터는 E-IDE 방식에서 S-ATA 방식으로 한참 넘어가던 과도기 시절에 조립된 컴퓨터인것 같은데,
기본적으로는 S-ATA 에 기반한 메인보드와 주변 기기들이 꽂혀 있다.
CD-ROM 도 S-ATA 케이블로 연결하는 방식이니, 제법 최신의 제품이다.
하드디스크에 찍혀 있는 제품일자가 2008년도니까, 대략 2008~2009 년 경에 조립이 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에 달려 있던 250G 짜리 S-ATA 하드다.
윈도우를 재설치 하려 해도 윈도우 파일 복사는 되지만, 설치를 위해 리부팅을 하면 설치가 안 된다.
이 컴퓨터를 과도기에 조립된 컴퓨터라고 하는 이유는,
요즘 컴퓨터는 USB메모리(4G 이상)에 윈도7 을 넣어서 바로 설치가 되지만,
이 컴퓨터는 USB메모리 설치가 되지 않는다.
메인보드가 USB 설치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인것 같다.
그동안 이상한 오류가 많이 났던 것은 하드디스크에 베드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짐작되는데...

CD-ROM 에서 윈도우 파일 복사는 되지만, 설치를 위해 리부팅을 하면 위 화면과 같이 에러 발생.

S-ATA 하드디스크 여분이 없는 관계로, 어떻게 할까 고민을 하다가,
메인보드에 E-IDE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길래,
기존에 사용하다가 놔둔 E-IDE 하드디스크를 연결해서 설치.
걱정과 달리 아무런 문제 없이 윈도XP 가 잘 설치되었다.

S-ATA 기반의 메인보드라고 해도, 구형 CD-ROM 을 위해 E-IDE 연결 단자를 한개 정도는 제공한다.
이 단자에 E-IDE 하드디스크를 연결해도 잘 인식된다.
기존에 E-IDE 전용 메인보드를 사용하던 시절에도,
하드디스크 여러개 연결하고 더이상 연결할 수 없을때,
CD-ROM 을 연결하는 단자(케이블)에 하드디스크를 연결해도 아무런 문제없이 잘 인식되었었다.
현재 내 컴퓨터도 CD-ROM 단자에 E-IDE 하드디스크를 하나 연결해서 사용중이다.

다만, E-IDE 단자는 하드디스크가 7200RPM 이라고 해도 속도가 느린데,
위에서 처럼, S-ATA 하드디스크는 없고 E-IDE 방식 하드디스크만 있을때,
임시방편으로도 E-IDE 단자에 하드디스크를 연결하여 윈도를 설치할 수 있다.

그나저나, 정말 '삼성이 만들면' 뭐가 달라도 다르다.
가장 많이 쓰이는 웨스턴디지털이나 시게이트에서 나온 하드디스크들과 달리 삼성전자에서 만든 하드디스크 들은 다른 회사의 하드디스크와 함께 장착할 경우 이상한 오류를 일으키기도 하고, 이번처럼 윈도우가 깔리지 않는 이상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를 자주 경험했다.
그나마 장점이라면, A/S 는 매우 잘 해준다는 점.


덧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25617
4671
11048155

google_myblogSearch_side

▷검색어

Flag Counter styl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