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안괘사(구안와사) 실제 침 놓은 자리와 얼굴 신경의 분포 비교 구안괘사(구안와사)

침놓은 자리와 얼굴 신경의 분포가 궁금해져서 비교해봤다.

해당 링크에서 사진을 가져와서 몇몇 부위에 파란색 점을 찍어 보았다.
점을 찍은 부분은 침놓은 자리와 거의 유사한 위치.

위 사진은 실제로 침을 놓은 자리.
이 사진은 왼쪽 얼굴인데, 비교를 위해 사진의 좌우를 뒤집었다.

신경 분포도와 침놓은 자리를 비교해 보자.
귀 뒤쪽에서 위아래를 돌아 얼굴 안면의 각 부위로 신경이 갈라져 나온다.
귀 아래 약간 뒤쪽에 침을 찔러서 피를 빼고, 그 근처에서 신경이 갈라져 나가는 분기점 및 신경의 끝 부분에 침을 놓은 것으로 생각된다.

신경줄기는 각 부분의 근육들에 움직임 신호를 전달하기 때문에, 신경에 마비가 오면 그 신경줄기가 지나가는 각 부분의 근육들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얼굴 각 부분으로 갈라져 나가는 신경줄기들을 다시활성화 시켜서 그 신경줄기가 관장하는 부분들의 근육이 다시 움직이도록 해주어야 한다.
얼굴이 삐뚤어지는 이유는 한쪽 신경줄기의 기능이 약화되어 반대쪽 얼굴의 근육 움직임에 비해 근육을 움직이는 힘이 약해져서 반대쪽 얼굴의 근육이 더 많이 움직이고 당겨지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신경을 되살리는 치료는 마비가 오지 않은 반대쪽의 힘과 균형이 맞게 힘을 회복해야 이후에 마비가 왔던 한쪽의 움직임이 둔하거나 반대쪽으로 당겨지는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
2~3주간의 치료로 힘의 균형이 맞을 정도로 회복하면 좋겠지만, 만약 회복이 더디다면 장기적으로 계속 마사지를 해주고 얼굴 근육을 움직이는 표정 연습을 지속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한약을 이용해 신경에서 염증을 일으켜 발생한 부종을 치료하고, 피를 맑게 해주며, 신경이 갈라져 가는 마디와 그 끝부분에 침을 놓아 전기적 자극을 주는 방식으로 치료를 하는 것 같다.
즉, 한약은 염증에 대한 치료를, 침은 문제가 발생한 신경을 자극해서 살리고, 전기치료(기계치료, 물리치료)는 둔해진 신경들이 다시 되살아나도록 마사지를 해주는 방식인 듯.

자가 치료로 귀 아래쪽 부분을 꾹 눌러 마사지를 계속 해주라는 이유는, 그곳이 얼굴 안면 신경으로 가는 각 신경줄기의 분기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약과 침 치료로 어느 정도 회복이 되었다면, 실제로 얼굴 근육을 움직여서 표정을 지어보며 미세한 신경과 근육들을 움직이는 연습을 하는 게 더 중요할 듯.

PS.
한의사의 답변에 의하자면, 이때 먹는 한약은 신경 마비를 풀어주는 작용을 한다고 함.

덧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450572
3663
11006546

google_myblogSearch_side

▷검색어

Flag Counter styl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