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I(체질량지수) 체크 - 비만 체크 Life_Health

자신의 비만 정도를 체크하는데 가장 유용하게 쓰이는 지수가 BMI(Body Mass Index:체질량지수) 수치라고 한다.
계산하는 방법은 체중(kg) ÷ 키²(㎡) 이다.
체중은 kg 수치 그대로 쓰고, 키는 기준단위가 미터(m) 이므로, 175cm 라면 1.75 로 계산한다.

즉, 체중이 70kg 이고, 키가 175cm 라면,
70 ÷ (1.75×1.75) ≒ 22.857
이다.

이 수치를 가지고 비교하는데,

  마른형 표준형 과체중형 비만증 병적비만증
20대 17.9이하 18~23 24~25 25이상 30이상
30대 18.5이하 18.5~24 25~30 30이상 40이상
                             
위와 같은 도표에 대입해서 상태를 점검한다고 한다.
나이는 계산할때 사용되지 않는데, 위 도표처럼 별도의 표가 있어야 한다.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나이값은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지고,
대충 보자면, 사람은 나이를 먹을수록 나잇살이 붙기 때문에, 비만을 적용하는데 약간 더 높은 수치를 적용하는것 같다.
아무튼, 나이와 크게 상관없이 20살 이하라면, 20대 기준값에, 30살 이상이라면 30대 기준값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대략 맞는것 같다.

체크해보니, 과체중으로 나온다.
현재 정확한 몸무게를 알 수 없어 부정확 하지만, 몇달전에 체크했던 몸무게로 보면 그렇고,
그 사이 몇kg 정도는 뺏다고 가정해도 과체중으로 나온다.
적정 몸무게는 60kg 중후반 정도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아직도 더 살을 빼는게 좋다는 얘기다.

직접 계산하기 귀찮기 때문에 네이버에서 간단하게 계산을 해볼 수 있다.

네이버 링크에서 계산기로 나온 결과값은 위 도표의 비만도 분석값과 약간 차이가 있는것 같지만, 대략 비슷하다.

과련링크:
체질량지수 [ BMI ]


덧글

댓글 입력 영역
* 비로그인 덧글의 IP 전체보기를 설정한 이글루입니다.


통계 위젯 (화이트)

449562
3663
11005973

google_myblogSearch_side

▷검색어

Flag Counter style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