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비만 정도를 체크하는데 가장 유용하게 쓰이는 지수가 BMI(Body Mass Index:체질량지수) 수치라고 한다.
계산하는 방법은 체중(kg) ÷ 키²(㎡) 이다.
체중은 kg 수치 그대로 쓰고, 키는 기준단위가 미터(m) 이므로, 175cm 라면 1.75 로 계산한다.
즉, 체중이 70kg 이고, 키가 175cm 라면,
70 ÷ (1.75×1.75) ≒ 22.857
이다.
이 수치를 가지고 비교하는데,
마른형 | 표준형 | 과체중형 | 비만증 | 병적비만증 | |
20대 | 17.9이하 | 18~23 | 24~25 | 25이상 | 30이상 |
30대 | 18.5이하 | 18.5~24 | 25~30 | 30이상 | 40이상 |
위와 같은 도표에 대입해서 상태를 점검한다고 한다.
나이는 계산할때 사용되지 않는데, 위 도표처럼 별도의 표가 있어야 한다.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나이값은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지고,
대충 보자면, 사람은 나이를 먹을수록 나잇살이 붙기 때문에, 비만을 적용하는데 약간 더 높은 수치를 적용하는것 같다.
아무튼, 나이와 크게 상관없이 20살 이하라면, 20대 기준값에, 30살 이상이라면 30대 기준값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대략 맞는것 같다.
체크해보니, 과체중으로 나온다.
현재 정확한 몸무게를 알 수 없어 부정확 하지만, 몇달전에 체크했던 몸무게로 보면 그렇고,
그 사이 몇kg 정도는 뺏다고 가정해도 과체중으로 나온다.
적정 몸무게는 60kg 중후반 정도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아직도 더 살을 빼는게 좋다는 얘기다.
직접 계산하기 귀찮기 때문에 네이버에서 간단하게 계산을 해볼 수 있다.
네이버 링크에서 계산기로 나온 결과값은 위 도표의 비만도 분석값과 약간 차이가 있는것 같지만, 대략 비슷하다.
과련링크:
체질량지수 [ BMI ]
덧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