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하면 통한다, POD-X3 로 콘덴서 마이크 녹음 가능?
결과: 팬텀파워가 지원되지 않는지, 소리가 나지 않음

일단, POD-X3 를 배제하고 이야기를 시작한다.
가지고 있는 베링거 믹서가 스테레오 2채널, 모노 2채널을 지원하는데, 모노 2채널에 마이크 두개를 꽂을 수 있다.
MXL990 콘덴서 마이크가 반드시 팬텀파워가 지원되야 하는 관계로,
마이크 입력단자가 없는 E-MU0404 오디오 카드에 마이크를 직접 입력하는 것은 불가능 하다.
헤드셋을 끼고 작업을 하는 관계로, 현재 믹서는 오디오 카드의 아웃풋에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믹서기를 인풋용으로 사용할 경우 헤드셋을 꽂을수 없으므로 그 방법은 불가능.
믹서기를 인풋용으로 쓰고 컴퓨터 상에서 아웃풋을 다른 사운드 카드로 돌려보려 했지만,
누엔도에서는 오디오 카드만 인식하는데다가, 별도로 오디오 카드를 더 가지고 있지도 않고,
별도의 오디오 카드로 아웃풋을 지정할 수 있는지도 미지수.
믹서기를 인풋과 아웃풋 동시에 사용할 수 없을까 고민을 해본결과,
기타 또는 마이크를 믹서에 연결한 후, 믹서기의 메인 아웃을 오디오 카드의 인풋으로 연결하고,
오디오 카드의 아웃풋을 믹서기의 콘트롤 아웃에 연결하면 동시 사용이 가능하기는 했다.
그러나, 콘트롤 아웃으로 연결하니 누엔도에서 재생되는 소리가 너무 작은 데다가 더이상 볼륨업이 되지 않았다.
가능은 하지만, 볼륨이 너무 작아서 사용 불가.

현재 장비로는 마이크를 입력할 방법이 없다고 포기하고 사진을 찍다보니, POD-X3 에 마이크 입력단자가 있는 것이 아닌가.
궁하면 통한다고 했던가.
POD-X3 를 처음 가져왔을때 마이크 입력이 있다는 것을 봤었겠으나 잊고 있었는데,
마이크 입력이 되니 마이크를 POD-X3 에 연결해서 녹음을 하면 되는 것이다.
기존의 연결 배선들을 건드리지 않고 단지 POD 에 마이크만 꽂으면 해결되는 문제였다.
놀라운 점은, POD-X3 가 마이크 입력과 기타 입력을 동시에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라이브 무대에서 기타와 마이크를 동시에 한 라인으로 내보낼 수 있다.
별도의 이펙팅은 안되겠지만, 이펙터도 사용할 수 있으니,
소규모 무대에서 기타와 마이크를 모두 사용하는 간단한 공연도 가능하니 얼마나 대단한가.
디스토션 이펙터를 이용하는 것은 안되겠지만, 어쿠스틱 기타와 보컬을 동시에 녹음하거나 공연 하는 것은 가능할것 같다.
그러나...
콘덴서 마이크를 POD-X3 의 마이크 입력단자에 연결해본 결과, 소리가 나지 않았다.
팬텀파워가 지원되지 않는것 같다.
팬텀파워가 필요하지 않은 다이나믹 마이크를 사용하면 유용하겠지만, 팬텀파워가 필요한 콘덴서 마이크를 사용하지 못하는 점은 치명적인 단점 중 하나가 아닐까.
덧글